반응형

제 지인 중 한 사람(편의상 C양이라고 칭하겠습니다)이 여대생 시절 등교 버스 안에서 겪은 일입니다. 자리에 앉은 김에 모자란 아침 잠을 보충하느라 눈을 감고 있는데, 옆자리에 누가 앉더랍니다. 슬쩍 눈을 떠보니 빈 자리도 많은데 웬 사내가 굳이 옆에 앉는 것이 영 수상쩍기 짝이 없었죠. 아니나 다를까, 몇 분이 지나자 팔짱을 끼고 자는 척 하던 이 놈의 손이 슬그머니 C양의 가슴을 건드리기 시작하더랍니다.

여기서 C양은 어떻게 대처했을까요?

만원버스나 지하철에선 이런 일도 곧잘 겪게 되죠?



지난 글에서 성폭력에 대한 자기 방어의 첫 단계로 '위험신호를 감지하고 믿는 것'의 중요성을 설명드렸습니다. 일단 이렇게 위험신호를 감지한 후 상대의 성폭력과 대치했을 때 호신술 또는 자기방어를 실천하고 위기 상황을 종결시키기 위해서는 몇가지 전략을 택할 수 있는데요. 크게 [설득 또는 저항 - 탈출 - 제압]이라는 단계별로 진행되며, 각 단계로 필요한 전술 또는 기술이 달라집니다.


가장 먼저 설득 단계에서는 물리력인 저항 없이 대화 또는 충격 화법, 경고 등을 이용해 상대가 스스로 가해를 중지하도록 설득 또는 교섭해서 상황을 종결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로 상대가 이미 이 쪽의 위험신호 감지 및 확인에 의해서나 스스로의 죄책감 등으로 이미 어느 정도 마음 속으로 범죄를 포기할 의사가 있을 때, 혹은 순간적인 충동에 의한 폭력 상황 등에서 유효한데요. 

지난 번에 설명드렸던 '쏘아보기'나 '소리지르기' 등도 사실 상 이 설득 단계에 해당하는 가장 기초적인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상대가 매우 흥분한 상태이거나 물리적인 공격을 시도하려고 할 때, 말을 걸어서 일단 행동을 멈추게 하거나 감정에 호소하여 동정심을 일으키는 등의 방법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첫머리의 사례에서 C양은 이와 같은 설득 단계의 테크닉을 아주 잘 활용했습니다. C양은 휴대폰을 꺼내들고는 친구에게 전화를 걸어 다음과 같이 큰 소리로 떠들기 시작했습니다.

"응, 나야. 나 지금 학교 가는 버스 안인데, 웬 변태 삐리리 자식이 옆에 앉아서 가슴을 만진다? 웃기지 않냐? 어~, 생긴 것도 웃기게 생겨가지고.. 뭐 할 짓이 없어서, 야야, 얼굴 빨개졌다. 창피한 줄은 아나 보지? 그러게 창피한 짓을 왜 해?"

C양은 친구와 함께 그런 놈을 가만히 놔두냐, 그런 놈은 뭐를 어찌해서 저찌해야 한다는 등 마치 다른 사람 얘기하듯 실컷 욕을 해댔습니다. 당연히 버스 안에 있던 사람들의 시선은 C양과 옆 자리의 남자에게 집중됐고요. 여자들의 수다는 끝이 없죠. 남자는 결국 얼굴이 벌개진 채 다음 정류장에서 허둥지둥 내려버리고 말았다고 합니다.

이 사례는 지난 글에서 설명드렸던 '범죄를 들키고 싶지 않은 심리'를 역으로 잘 이용한 케이스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사실 이 사례처럼 설득 단계에서 상황을 완벽하게 종결시키기란 무척 어렵습니다. 같은 방법이라도 상대에 따라 반응이 달라질 수도 있고요. 그래서 영화나 소설 등을 통해 알려진 것처럼 경찰에도 유괴, 납치, 자살 시도, 테러 등 범죄를 상대하는 전문교섭가가 따로 존재할 정도로 이 방법은 때때로 아주 복잡한 사회적 관계에 대한 이해와 화술을 갖추고 있어야만 유효할 수도 있습니다. 또 상당히 오랜 기간에 걸쳐 반복적이고 점진적으로 상대를 설득하는 과정을 거쳐야 할 때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단계는 반드시 거쳐야하며 분명히 유효합니다. 예컨대 직장, 학교 혹은 어떤 집단이나 관계 속에서의 권력 구조에 기댄 성희롱이나 추행과 같은 형태의 성폭력에 대해서는 강도 높은 물리적 저항을 하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일시적인 저항이나 탈출은 근본적인 해결책도 되지 못합니다. 따라서 지속될 수 있는 폭력을 멈추기 위해서는 상대방으로 하여금 진심으로든 강제적으로든 성폭력의 행사를 멈춰야겠다고 납득할 수 있는 현실적인 합의점을 만들어내야 할 필요가 분명히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가 하면 밤길에서 낯선 이의 습격이나 보다 직접적이며 물리적인 성폭력(강간, 폭행, 강도 등) 위기에 처했을 경우에도 설득 단계를 통해 시간을 끌면서 다음 단계인 탈출 또는 저항이나 제압을 위한 상황 관찰을 할 여유를 가질 수 있으며, 상대의 주의를 분산시키거나 안심시켜 빈틈을 만들어 낼 수도 있습니다. 또 , 즉각적인 저항이나 제압을 시도했다가 실패했을 경우 다시 상황을 추스리기 위한 방편으로도 유효하지요.


'소리 지르며 밀어내기'는 ASAP의 가장 기본적인 방어기술


사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라면 말보다는 손발이 먼저 나가는 것이 좋을 때가 있습니다. 이렇게 불시의 물리적 습격에 대해 소리를 지르면서 상대를 밀어낸다거나, 몸이나 옷, 가방 등을 잡혔을 땐 그것을 풀어내기 위해 상대를 공격하고 일단 최소한의 대응 거리를 만드는 것을 '저항', 그리고 심신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위기에서 벗어나 안전한 상황으로 돌아가는 것을 '탈출'이라고 칭하기로 하겠습니다.

'탈출'은 ASAP 호신술의 자기방어 실천 3단계에 해당하며, 특히 상대가 흉기를 가지고 있을 때나 상대가 여러 명일 때, 혹은 상대와 물리적으로 대치해서 제압할 자신이 스스로에게 없을 때 등 그 상황을 오래 끌 수록 명백하게 불리한 상황이라고 판단될 때는 무조건 이 단계를 우선해야 합니다. 쉽게 말하면 '도망가는 것'이죠.

이 단계에서 가장 주의해야할 점은 탈출을 위해서 '설득'이나 '저항' 등을 통해 빈틈을 만들거나 이미 빈틈이 보였다면 망설임 없이 최대한 빨리 그 상황을 벗어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특히 '저항'을 해야할 경우라면 즉각적이고 기습적인 공격으로 확실하게 탈출할 수 있는 여유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이 단계를 설명할 때 의외로 많은 여성들이 도망가기보다는 확실하게 제압을 해서 혼쭐을 내주고 싶다, 이런 단계를 설정한 것은 결국 여성이 남성보다 약하다는 한계를 인정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합니다.

하지만 남자라 해도 가능한 물리적 충돌을 피하고 자기 심신의 보전을 우선해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물리적 충돌은 필연적으로 자신의 위험 부담 또한 높입니다. 따라서 억지로 상대를 제압하려다가 상대의 반격에 의해 다칠 수도 있고, 쓸데없이 시간을 끌다가 충분히 탈출할 수 있었던 상황임에도 탈출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의 분노를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닙니다. 하지만, 분노에 지나치게 휩쓸리다 보면 냉정한 판단을 하지 못하고 더 큰 후회를 할 수 있는 선택을 할 수도 있습니다. 탈출은 비겁하거나 약한 선택이 아닌, 호신이라는 관점에서는 가장 현명하고 적절한 전술적 판단입니다. 


물론 상황과 필요에 따라서는 반드시 상대를 제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그 단계인 '제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武Zine과 공도KOREA는 여성호신술에 대한 오랜 고민과 연구 끝에 ASAP(Anti Sexual Assault Program)이라는 새로운 성폭력 예방/퇴치 및 여성호신술 전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했으며, 지난 여름 제작해 9월에 공개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어플인 '올댓호신술'은 지금까지 6천7백 건이 넘는 다운로드 회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 기업 사보 연재, 지역 사회체육센터 및 각종 대학과 단체 대상의 여성호신술 특강도 활발히 추진되는 등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수련문의
서울 : 공도KOREA 중앙도장 cafe.daum.net/daidojuku (성북구 한성대학교 중문 앞, 070-7536-7134)
부산 : 부산시국민체육센터 '격투기다이어트&호신술' 강좌 (서구 서대신동3가, 051-243-5959, 월수금 오후2시/9시)

티스토어 '올댓호신술' 
http://j.mp/dvXi5x  
반응형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