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택견 Q&A 는 저도 잘 모르겠고 다같이 함께 생각해 보았으면 하는 주제입니다.

일단 택견에 대한 풍속도나 사진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결련택견협회 홈페이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이 그 유명한 대쾌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이 연세대 어학당에 있다는 그 풍속도인듯 합니다.(확인을 못해서..-_-;) 출처는 보시다시피 [무카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외국인 선교사가 찍은 사진.

이외에 기산의 풍속도는 사진을 구할 수가 없었습니다만 제가 알기론 그 풍속도는 택견이라기보다 씨름에 더 가깝다고 알고 있고요. 그것을 제외하면 모든 풍속도, 사진에는 성인은 없고 댕기머리의 아이들이 택견을 하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생각을 하면 할수록 알 수가 없더군요. 오죽하면 [일본인들이 성인들이 택견하는 풍속도는 이 잡듯이 찾아내서 없애버렸다.] 라는 생각까지 들까요... 대쾌도, 외국인 선교사의 사진 등을 보아도 언제나 택견으로 추정되는 기예를 하는 것은 아이들이나 소년들입니다. 동작이 같아서, 그리고 택견의 기본 자세인 인승자세와 같고 씨름과 함께 세시풍속으로 행해졌다는 택견이 언제나 거의 같이 나와서 택견이라고 추정되는데 왜 항상 아이들만 있을까요. 몇 가지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1. 택견이 아니라 택견과 비슷한 까기 등의 애들 놀이이다.


일단 이 아이들이 하던 것은 택견이라기보다 까기 등 발로 차서 넘어뜨리는 놀이 정도였을 것이다 라는 생각이 있습니다. 일단 아이들의 자세는 풍속도나 사진이나 모두 비슷한데 윗발질의 모습은 전혀 나오질 않고 기본 자세만 보이고 있죠. 씨름의 경우는 서로 샅바를 잡은 자세들 외에도 들어 올리는 자세 같은 것이 나오는데 비해 택견으로 추정되는 그림들은 자세가 변화가 거의 없습니다.


2. 성인들의 택견은 매우 격해서 그림으로 그것을 묘사하기 어려웠다.


성인들의 택견이 아이들과 달라서 매우 격렬했기 때문에 폭력성이 짙어서 그것을 그림으로 그리기 어려웠을 것이다. 라는 생각도 있었습니다. 풍속도란 미풍양속의 그림들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렇게 격렬하게 두들겨 까는 것이 풍속도로 그리긴 좀 그렇지 않겠냐.


라는 의견이었습니다만 여성들 목욕하는 그림이나 석전(石戰)도 풍속도로 버젓이 있는 판에 그거 좀 격렬한 놀이라고 못 그렸다는 것은 말이 안 되지 싶네요.


3. 성인들의 택견판은 밤에 했기 때문에 그림을 못 그렸다.


명절날 크게 하던 택견판은 멍석 깔아놓고 화톳불을 밝히고 했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밤에는 그걸 그리기가 어려웠다.....라는 생각도 있지만 밤에 생각했다가 낮에 그릴수도 있는 노릇 아닌가요-_-


4. 일본인들이 성인들이 택견 하는 그림이 멋있어서 다 훔쳐갔다.


제일 말이 안 되는 것 같은 생각입니다. 남아있는 그림들은 뭘까요.



하지만 이것들 중 어느 것도 답도 아닌 것 같습니다. 답은 커녕 실마리도 못 잡는 것 같아요. 분명히 명절날에는 성인들도 크게 택견판을 벌였다고 하는데 말이죠. 도대체 왜 성인들의 택견 모습은 그림으로 남아있지 않은 것일까요?


반응형
Posted by pengpeng
,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택견의 대표적인 풍속도인 혜산 유숙의 [대쾌도]
*출처는 인터넷 검색


택견은 무형문화재 76호로 무예로는 유일하게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택견이 우리나라 전역에 퍼져있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택견은 전국에 퍼져있는 무예였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 통설입니다.

일단 택견의 기원에 관한 것을 아셔야 할텐데 택견의 기원은 무예가 분명합니다. 재물보의 기희편에 보면 나오는 말이 무술, 수박이 곧 오늘날의 탁견이다. 라고 하였고 송덕기 할아버지도 탁견이라고 말씀하신 것으로 볼 때 무술로서의 탁견이 전해지면서 그 수련방법과 대련 방법을 놀이로 즐기게 된 것이 경기화된 택견이며 그 경기 택견을 마을과 마을간의 단체전으로 하는 것이 [결련택견] 입니다.

그러면서 탁견은 무술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대명사에서 점점 특정한 기예를 나타내는 고유명사로서 자리잡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탁견은 품밟기의 움직임으로 보건대, 그리고 수박과의 연관을 생각할 때 상당히 많은 전투적 기법을 포함한 무예였던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아마도 군영쪽에서는 꽤 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송덕기 할아버지의 증언에도 별기군들이 택견을 했다고 하셨으니까요. 그럼 그런 군영의 사람들이 지방으로 가면서 택견의 기법이 퍼졌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입니다.

또는 서울에 살던 택견꾼이 지방으로 이사를 가서 기법이 전해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일단 [까기] [잽이수] 등등의 놀이가 지방에서 발견되지요. 까기는 잡기가 아니라 순수하게 발로 상대의 다리를 차서 넘어뜨리는 놀이이며 잽이수는 서로 떨어져서 하는 씨름 같은 놀이입니다. 이외에도 평안도에 날파름이라고도 하는 기법도 발견되지요.

이렇듯이 지방에도 택견과 비슷한 기법이 남아 있긴 합니다.

그러나 경기로서 즐기던 결련택견은 서울에서밖에 모습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확실합니다.

오늘날 어떤 사람들은 자신의 무술도 택견의 기법이고 택견은 무술을 나타내는 말이었으니 자신도 택견을 한 사람이다 라는 주장을 하곤 하는데요...

[탁견] 이 경기화되어서 오늘날 우리가 아는 택견이 된 것이고 그 큰 줄기는 분명히 서울지방에서 행하던 택견과 결련택견이었으며 해동죽지, 코리언게임스 등의 여러 문헌들에 나오는 [택견]이 또한 이를 뒷받침하고 있으니 우리에게 인식된 택견이라는 기예는 결국 지방에는 없는, 서울에서만 발견된 그런 고유명사로서의 기예라고 보는 것이 맞을 것입니다.
반응형
Posted by pengpeng
,